Th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 December 2020. 468-476
https://doi.org/10.7740/kjcs.2020.65.4.468

ABSTRACT


MAIN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공시품종 및 조직배양묘 증식

  •   조직배양묘 순화 및 삽수채취

  •   경삽묘 육묘 및 광도

  •   분무경재배

  •   생육 및 수량조사

  •   통계분석

  • 결과 및 고찰

  •   광도별 경삽묘 생육

  •   분무경재배 생육 및 괴경 수량

  • 적 요

서 론

감자(Solanum tuberosum L.)는 인류의 식량으로 중요한 작물중의 하나로 7,000년 전에 이미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Kim, 2005). 재배되는 감자는 괴경을 이용하여 증식하는 영양번식작물로 감자 식물체로부터 절단된 부정아를 땅속에 묻으면 괴경이 형성된다는 것이 알려진 후, 경삽은 씨감자 대량증식방법으로 이용되었으며(Bryan et al., 1981; Buck & Akeley, 1966; Cole & Wright, 1967; International Potato Center, 1975, 1976), Hamann (1974)은 경삽묘가 1년에 260~7,600배까지 증식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묘 생산기술이라고도 하였다. 유전자원의 보존방법(Goodwin et al., 1980)으로 이용하던 기내소괴경도 씨감자 생산에 이용하기도 하였으나(Hussey & Stacey, 1984; Joung, 1989; Wang & Hu, 1982; Yiem et al., 1990), 크기가 작아 발아가 불균일하고 초기생육이 늦고 수량이 적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Choi et al., 1994; Kim et al., 1993).

양액재배는 일반적으로 배지의 종류나 배양액과 산소의 공급방법에 따라 수경, 분무경, 역경, 사경, rock wool경 등으로 분류되는데(Fong et al., 1969; Ulrich et al., 1972; Wheeler et al., 1990), 감자에서도 양액재배를 이용한 씨감자 생산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Kim et al., 1993), 씨감자 생산을 위한 양액재배방식은 담액경(DFT)이나 박막순환식(NFT) 양액재배 방식보다 분무경재배가 적합하다고 알려졌다(Kang et al., 1996). 분무경재배를 통한 씨감자 생산에는 대량의 경삽묘 생산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며(Kang et al., 2006), 경정배양으로 생산된 조직배양묘를 증식(Jo et al., 2001)하고 경삽한 경삽묘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씨감자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Jo et al., 2017, 2018a, 2018b, 2018c, 2019, 2020; Kang et al., 1996; Kim et al., 1997; Kang et al., 2005, 2006, 2017). 충청남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13년부터 씨감자생산기반구축사업에 참여하여 경삽묘를 이용한 분무경재배로 최상위단계의 바이러스 무병 씨감자를 생산하고 농업인에게 보급하고 있다.

작물을 시설 내에서 광, 온도, 습도 및 배양액 등의 환경조건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계절이나 장소 등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좁은 의미로는 밀폐형 인공제어 식물생산시스템(Masamoto, 2007)으로 정의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안정적인 씨감자 생산을 위하여 폐쇄형 생산시스템에서 경삽묘의 생산에 적합한 LED 광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공시품종 및 조직배양묘 증식

대한민국에서 봄에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일기작 감자인 ‘수미’와 숙기가 빠르면서 휴면기간이 짧고 봄·가을에 모두 재배할 수 있는 이기작 감자인 ‘추백’을 공시품종으로 이용하였다. 실험재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경정배양한 배양묘를 분양 받아 PVY ImmunoStrip Kit (ISK 20001/0025, Agdia, Inc., USA)를 이용하여 PVY 감염여부를 확인한 다음 온도 21°C, 상대습도 50%, 광도 60 μmol·m-2·s-1 (LED 하방광), 그리고 광주기(명기/암기) 16/8시간으로 조정된 배양실에서 hormone- free MS배지(Murashige & Skoog, 1962)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묘를 증식하였다.

조직배양묘 순화 및 삽수채취

배양실에서 20일간 계대배양한 조직배양묘(초장: ‘수미’ 8.3 cm, ‘추백’ 7.5 cm)를 가로 550 × 세로 366 × 높이 120 mm 크기의 순화상자(NAP 5312, 엔피씨주식회사, 대한민국)에 흰 부직포(40 g·m-2)를 깔고 펄라이트(입자크기 2~5 mm) 10 L를 채운 다음 상자당 225주를 3 cm 깊이로 정식(2018년 1월 7일)하여 순화하였다. 순화는 온도 21°C, 상대습도 80%, 광도 60 μmol·m-2·s-1 (LED 하방광), 그리고 광주기(명기/암기)를 16/8시간으로 하여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인 경삽실에서 제4종 복합비료를 이용한 배양액(pH 6.6, EC 1.0 dS·m-1)을 충전식분무기(HP-2010, 한일에스피주식회사, 대한민국)로 매일 상자당 200 ml씩 두상관비하였다.

조직배양묘 순화 24일 후 삽수를 채취하였는데, 본엽 2매를 남기고 나머지 잎을 제거하고 삽수장을 5 cm로 다듬어서 경삽용 삽수(경경: ‘수미’ 1.8 mm, ‘추백’ 1.7 mm)로 이용하였다.

경삽묘 육묘 및 광도

경삽묘는 온도 21°C, 상대습도 80%로 조정된 경삽실에서 수조형배양대(W 1350 × D 800 × H 2200 mm, 4단)에서 제4종 복합비료를 이용한 배양액(pH 6.6, EC 1.0 dS·m-1)을 분무기로 매일 상자당 200 ml씩 두상관비하면서 Jo et al. (2018a, 2018b, 2018c, 2019)의 보고를 참고하여 40일간 육묘하였다.

육묘중의 광도는 수조형배양대 각 단마다 평판 LED (1170 × 466 × 18 mm, 120W, SMPS, Dimming type, 3개 PCB, PCB: 396 × 298 × 1.0 t, loz)를 1개씩 설치하여 60, 120, 180, 그리고 240 μmol·m-2·s-1 하방광으로 광도를 조절하였으며, 광주기(명기/암기)는 16/8시간 이었다(Fig. 1). LED (Light emitting diode, Mid-Power LED-3030, 서울반도체주식회사, 대한민국)의 광도 측정은 PHOTO/RADIOMETER (HD 2102.2, 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 광원(LED)으로부터 38 cm 떨어져 있는 배지표면 중앙에 38 mm 높이의 센서(LP 471 PAR Probe, Italy)를 놓고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PPF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를 측정하였다. 시험구는 반복당 삽수 225개씩 3반복으로 총 675개를 경삽하여 1개 배양대에 4개 처리구를 완전임의배치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cs/2020-065-04/N0840650422/images/kjcs_65_04_22_F1.jpg
Fig. 1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using perlite hydroponic system (Left, ‘Sumi’; Right, ‘Chubaek’).

분무경재배

분무경재배는 농촌진흥청 표준설계 08-자동화-I형 온실(4,160 m2)에서 스티로폼 성형베드(가로 520 × 세로 1,000 × 높이 310 mm)에 50 cm 간격으로 노즐(1.32 ± 0.02 mm)을 설치하고, 분무경 2호 정식판(두께 35 mm)에 재식거리 25 × 25 cm 간격으로 정식하였으며, 배양액은 감자전용액(Table 1, Chang et al., 2000)을 이용하여 주간 300초 공급 후 300초 휴지, 야간에는 300초 공급 후 600초 휴지로 조절하다가, 4월 6일 이후부터는 주간 120초 공급 후 600초 휴지, 야간에는 120초 공급 후 1,200초 휴지로 공급하였다. 배양액의 온도는 18°C로 조절하다가 4월 3일 이후에는 16°C로 낮추어 관리하면서, 10일마다 새로운 배양액(EC 0.8~1.3 dS·m-1, pH 6.5)으로 교체하였다. 시험구는 반복당 4주씩 5반복으로 총 20주를 2018년 3월 16일 정식하였으며, 1개 베드에 4개 처리구를 완전임의배치하였다.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used for the aeroponic cultivation of potatoes.

Chemicals Concentration (mg·L-1) Chemicals Concentration (mg·L-1)
KNO3 379 H3BO3 2.86
Ca(NO3)2·4H2O 325 ZnSO4·7H2O 0.22
NH4H2PO4 80 MnSO4·H2O 1.54
MgSO4·7H2O 215 CuSO4·5H2O 0.08
Fe-EDTA 23 Na2MoO4·2H2O 0.026

생육 및 수량조사

광도별 경삽묘의 생육조사는 반복당 10주씩 경삽 후 40일째에 초장, 마디수, 경경(줄기굵기), 엽수, 엽면적, SPAD, Fv/Fm, 생체중, 건물중, 경삽묘 생산율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배지표면에서 식물체 정부까지의 길이를, 마디수는 배지표면에서 정부 아래 마디가 명확히 구분되는 부분까지, 경경은 정부 아래 세 번째 마디의 중간 부위를 측정하였다. 엽수는 1 cm 이상의 본엽을, 엽면적은 엽면적측정기(LI-3100C AREA-METER, LI-COR, USA)를 이용하여 개체 전체의 잎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SPAD 값은 엽록소측정기(SPAD 502,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정부 아래 세 번째 본엽을, 엽록소형광값(Fv/Fm)은 측정하기 전에 암적응 클립으로 30분간 적응시킨 후 엽록소형광측정기(Multi-Mode Chlorophyll Fluorometer OS5p, Opti-SCIENCES, USA)를 이용하여 정부 아래 세 번째 본엽을 측정하였다. 경삽묘 생산율은 정상적으로 생장을 하면서 분무경재배에 이용할 수 있는 건전한 경삽묘 비율을 조사하였다.

분무경재배의 생육조사는 정식 후 80일 되는 날에 지상부의 경엽 생체중, 경삽묘 생체중, 뿌리 생체중, 복지 생체중을 조사하였으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각각의 복지수와 복지길이를 측정하였다.

분무경재배의 수량조사는 수확하기 전 1일간 감자표피 큐어링을 위하여 배양액 공급을 중단하고 정식판을 들어 올려 자연녹화를 시킨 다음, 2018년 6월 4일 수확하였는데, 괴경중이 0.5 g 이상인 것을 6계급(0.5~3, 3~5, 5~10, 10~30, 30~50, 50 g 이상)으로 나누어 주당 괴경수와 총괴경중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통계처리는 Costat프로그램(CoStat Version 2.11, Monterey, USA)을 이용하여 ANOVA 및 Duncan의 다중검정을 p ≤ 0.05수준에서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광도별 경삽묘 생육

육묘 40일 후의 품종별 광도에 따른 경삽묘의 생육은 Table 2Fig. 2와 같다.

Table 2.

Effect of LE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stem cuttings of 2 potato cultivars grown for 40 days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Cultivar LED light
intensity
(μmol·m-2·s-1)
Plant
height
(cm)
Stem
diameter
(mm)
No. of
nodes /plant
No. of
leaves
/plant
Leaf area
(cm2/plant)
SPAD
value
Fv/Fm
value
Fresh
weight
(g/plant)
Dry
weight
(g/plant)
Production
ratez
(%)
Sumi 60 17.3 ay 1.7 b 10.4 a 8.7 ab 19.0 a 50.0 a 0.8671 a 1.229 a 0.0885 c 100.0 a
120 10.2 b 1.8 b 8.9 b 7.6 c 15.2 a 48.8 a 0.8310 a 0.927 b 0.1269 b 89.4 b
180 10.4 b 2.2 a 10.7 a 9.2 a 17.5 a 50.9 a 0.8299 a 1.069 ab 0.1565 ab 83.1 b
240 7.3 c 2.1 a 8.9 b 8.3 b 15.1 a 49.8 a 0.8243 a 0.967 b 0.1765 a 58.6 c
Chubaek 60 16.1 a 1.7 a 7.9 a 7.3 a 25.7 a 48.1 ab 0.8272 a 1.249 a 0.1034 a 99.1 a
120 9.5 b 1.7 a 6.9 ab 6.5 ab 22.1 ab 47.7 b 0.8297 a 0.994 b 0.1069 a 85.9 a
180 8.2 b 1.7 a 7.2 ab 6.7 ab 22.8 ab 48.8 ab 0.8254 a 1.038 b 0.1445 a 65.6 b
240 5.9 c 1.6 a 6.7 b 6.2 b 21.0 b 51.6 a 0.8186 b 0.993 b 0.1391 a 25.6 c

zRate of healthy stem cuttings production.

yMean differences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cs/2020-065-04/N0840650422/images/kjcs_65_04_22_F2.jpg
Fig. 2

Growth of stem cuttings as affected by LED light intensity in a closed-type hydroponic system using perlite (Left, ‘Sumi’; Right, ‘Chubaek’). The black scale bar represents 50 mm.

초장은 60 μmol·m-2·s-1 광도에서 ‘수미’ 17.3 cm, ‘추백’ 16.1 cm로 가장 컸으며, 광도가 높아질수록 작았다. 경경은 ‘수미’에서는 광도가 높을수록 굵었지만 ‘추백’에서는 광도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마디는 60 μmol·m-2·s-1 광도에서 ‘수미’ 10.4개, ‘추백’ 7.9개로 가장 많았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마디수는 적었다.

엽수에서는 품종별 반응이 달랐는데 ‘수미’의 경우에는 광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추백’에서는 광도가 낮을수록 많아 60 μmol·m-2·s-1 광도에서 주당 7.3개로 많았다. 엽면적 또한 ‘수미’의 경우 광도별 유의차가 없었으며, ‘추백’에서는 광도가 낮을수록 주당 엽면적이 컸는데, 60 μmol·m-2·s-1 광도에서수미’ 19.0 cm2, ‘추백’ 25.7 cm2로 두 품종 모두 낮은 광도에서 주당 엽면적이 큰 경향이었다. SPAD 값도 ‘수미’에서는 광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추백’에서는 240 μmol·m-2·s-1 광도에서 5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v/Fm 값 또한 ‘수미’에서는 광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추백’에서는 240 μmol·m-2·s-1 광도에서 0.8186으로 가장 낮았다.

광도별 경삽묘의 주당 생체중은 60 μmol·m-2·s-1 광도에서 ‘수미’ 1.229 g, ‘추백’ 1.249 g으로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광도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물중의 경우 ‘수미’는 광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나 ‘추백’은 광도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다. 건전한 경삽묘 생산율은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매우 감소하였다. 광도가 높을수록 경삽묘에서 복지나 마이크로튜버가 많이 생성되었는데(Fig. 2), 특히 ‘수미’의 경우 60 μmol·m-2·s-1 광도에서는 마이크로튜버가 형성되지 않았다.

유식물체의 생장 및 형태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은 온도, 상대습도, 수분포테셜, 광, CO2 농도, 배지의 무기영양분 등 여러 요인이나, 그 중에서 광은 식물의 생장과 분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Jeong et al., 1995). 감자 배양시 광조사 방향에 관계없이 광도가 증가하면 초장은 짧아진다는 Kitaya et al. (1995)의 보고와 폐쇄형 묘생산 시스템에서 감자 플러그묘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감소했다는 Kim et al. (2008)의 보고는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식물공장에서 광도는 엽채류의 엽수 전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보고(Choi et al., 2014)와 높은 광도에서 배양한 감자가 생체중이나 건물중 모두 증가했다는 보고(Hayashi et al., 1992), 기내배양 Spathiphyllum의 순화에서 광도가 100 μmol·m-2·s-1까지 높아질 경우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엽수는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Dewir et al., 2005) 등은 본 연구 결과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작물별 광요구도나 광 조사 방법, 배양액 및 재배방법 등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SPAD 값은 강광도 조건에서 증가(Lee et al., 2001)하지만 오히려 낮은 광도에서 엽록소 함량이 높은 경우도 있는데(Choi et al., 1999), 본 연구의 SPAD 값에서는 품종간 차이를 보여 ‘수미’에서는 광도별 차이가 없고 ‘추백’은 광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광이용 효율이나 식물체의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Fv/Fm 값은 정상적인 환경에서는 0.80~0.84 범위이고(Baker & Rosenqvist, 2004), 대부분의 식물에서 건강한 잎의 경우 보통 0.83 정도인데(Choi et al., 2004), 본 연구 결과 ‘수미’는 60 및 120 μmol·m-2·s-1 광도에서 0.83 이상이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두 품종 모두 광도가 증가하면 Fv/Fm 값은 감소하였다. 이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Fv/Fm 값은 감소하였다는 보고(Piao et al., 2001; Dewir et al., 2005)와 같은 경향으로, 품종별로는 ‘수미’가 Fv/Fm 값이 높아 광 스트레스를 적게 받으며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서 품종에 따라 광 이용 효율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60 μmol·m-2·s-1 광도 처리구에서 ‘수미’와 ‘추백’ 모두 정상적인 생장이 이루어져 건전묘 생산비율이 월등히 높았지만, 광도가 높아질수록 건전묘 생산비율이 낮고 생육이 둔화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광도 등 경삽에 이용된 모주가 적응했던 생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광질, 광 이용 효율과 같은 품종특성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더 많은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분무경재배 생육 및 괴경 수량

각기 다른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를 이용하여 80일간 분무경재배한 감자의 생육은 Table 3Fig. 3과 같다.

Table 3.

Effect of LED light intensity on the fresh weight and stolon development of 2 potato cultivars grown for 80 days after planting of stem cuttings in an aeroponic system.

Cultivar LED
light intensity
(μmol·m-2·s-1)
Fresh weight (g/plant) Number and length of stolons
Aboveground
parts
Underground
parts
First Second Third
Stem and
leaf
Stem cuttings  Root  Stolon Number Length
(cm)
Number Length
(cm)
Number Length
(cm)
Sumi 60 38.24 az 0.606 a 0.605 a 0.173 a 4.2 a 4.3 a 0.8 b 0.4 b 0 0
120 24.74 b 0.378 b 0.502 ab 0.157 a 2.9 ab 6.2 a 1.9 ab 1.0 ab 0 0
180 16.80 b 0.233 c 0.383 bc 0.112 a 3.0 ab 5.9 a 2.2 ab 0.9 ab 0 0
240 15.78 b 0.110 d  0.301 c  0.175 a 1.8 b 7.1 a 3.7 a 2.0 a 0 0
Chubaek 60 72.88 a 0.289 a 1.056 a 0.272 a 7.7 a 17.3 a 5.1 a 5.5 a 0.6 a 0.4 a
120 69.76 ab 0.230 a 0.910 a 0.177 ab 6.0 ab 12.2 ab 5.4 a 6.2 a 0 a 0 a
180 51.50 ab 0.120 b 0.944 a 0.060 b 4.0 bc 8.1 b 3.5 a 4.0 a 0 a 0 a
240 39.34 b 0.102 b  0.852 a  0.100 b 3.3 c 6.0 b 4.6 a 3.6 a 0 a 0 a

zMean differences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cs/2020-065-04/N0840650422/images/kjcs_65_04_22_F3.jpg
Fig. 3

Growth and yield per plant using stem cuttings as affected by LED light intensity in an aeroponic system (Upper, ‘Sumi’; Lower, ‘Chubaek’). The white scale bar represents 100 mm.

지상부 경엽의 생체중은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를 이용한 경우가 무거웠으며, 광도가 높아질수록 가벼웠고, ‘추백’이 ‘수미’ 보다 높았다.

정식판 아래 뿌리의 생체중은 ‘수미’의 경우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를 이용했을 때 0.605 g/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게 가장 무거웠고, 광도가 높아질수록 가벼웠다. ‘추백’의 경우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는데, 감자 양액재배시 광도가 증가할수록 초장이나 건물중이 증가한다는 보고(Piao et al., 2004)와는 다른 경향이었다. 반면, 복지의 생체중은 ‘수미’의 경우 광도별로 육묘한 경삽묘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추백’의 경우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를 이용했을 때 0.272 g/주로 가장 무거웠다.

분무경재배시 복지 발생정도를 살펴보면, 괴경형성에 가장 영향이 큰 1차 복지 발생 수는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를 분무경재배했을 때 ‘수미’ 4.2개/주, ‘추백’ 7.7개/주로 가장 많았고, 복지길이는 ‘추백’에서만 유의성을 보여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에서 17.3 cm로 가장 길었다. 2차 복지 발생 수는 ‘수미’의 경우 1차 복지와는 달리 250 μmol·m-2·s-1 광도까지 높은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가 복지수 및 복지길이 모두 높았으며, ‘추백’은 유의성이 없었다. 3차 복지는 ‘수미’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고 ‘추백’에서도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에서만 약간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육묘시 광도를 달리한 경삽묘를 분무경재배했을 때 품종특성에 따라 품종간에 차이는 있으나,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가 육묘시의 광도가 높은 다른 처리보다 경엽 및 뿌리 생체중이 높고 복지수가 많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경삽묘의 묘소질에 따른 초기 생육이 좋은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분무경에서는 뿌리의 전부 혹은 일부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양액을 분무하거나 안개와 같이 포화시켜 재배하므로 용존산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Massantini, 1985; Maxwell, 1986), 분무경에서 자란 식물은 수경재배와 달리 근권의 산소가 풍부하고 근모의 발달이 좋아서 생육이 왕성하다(Zobel et al., 1976).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으로 생육이 왕성하지 않았는데, 이는 분무경재배 초기 온실의 저온과 생육 전기간에 동일한 배양액을 사용하여 생육단계에 따른 적절한 배양액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고 또한 생육과 괴경형성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생육단계별 배양액 조성이나 배양액 온도 등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육묘 광도를 달리한 경삽묘를 이용하여 80일간 분무경재배한 감자의 괴경수량 특성은 Fig. 4와 같다. 주당 총괴경수는 ‘수미’의 경우 60 및 12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에서 6.3개, ‘추백’에서는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에서 14개이었으며, 두 품종 모두 광도가 높을수록 괴경수는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의 분무경재배가 주당 총괴경중도 역시 가장 높았으며, 괴경수와 마찬가지로 광도가 높아질수록 적어졌다. 이는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의 묘소질에 따른 초기 생육이 좋아 뿌리 발달이 좋고 복지수가 많은 것 때문으로 판단되는데, 뿌리무게와 괴경수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Chloupek, 1970; Iwama et al., 1979)와 분무경재배시 경삽묘의 초장이 긴 것을 정식하는 것이 괴경수량이 높다는 보고(Jo et al., 2018b)와 같은 경향이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cs/2020-065-04/N0840650422/images/kjcs_65_04_22_F4.jpg
Fig. 4

Number of tubers and tuber weight as affected by LED light intensity at 80 days after planting of stem cuttings in an aeroponic system (Upper, ‘Sumi’; Lower, ‘Chubaek’).

계급별 괴경수량을 보면 육묘할 때 광도를 달리한 모든 경삽묘를 분무경재배하여 수확한 10~50 g의 괴경비율이 대부분이었는데,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로 분무경재배하여 수확한 씨감자를 노지재배나 망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크기인 3 g 이상의 괴경비율이 ‘수미’는 90%이었으며, ‘추백’도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에서 주당 12개로 가장 많았다. 주당 총괴경중은 60 μmol·m-2·s-1 광도에서 ‘수미’가 153 g, ‘추백’은 298 g으로 같은 광도에서 육묘한 경삽묘를 이용하였어도 ‘수미’보다는 ‘추백’의 수량이 높았는데, 이는 복지수나 복지길이 차이 등의 품종특성에 따른 것으로, 많은 복지수(유효복지수)와 유전적으로 긴 복지가 수량을 증대시킨다(Kim et al., 1997)는 보고와 같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면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생산할 경우, 육묘에 적합한 LED 광도는 60 μmol·m-2·s-1라고 판단되었으며,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은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생산이 가능하므로 광조사 방법 및 LED 광질 등에 관한 면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본 연구는 씨감자 생산에 적합한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위한 광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감자(Solanum tuberosum L.) ‘수미’와 ‘추백’의 경정배양묘를 순화한 다음 삽수를 채취하여 경삽하였다. 서로 다른 LED 광도(60, 120, 180, 그리고 240 μmol·m-2·s-1)에서 40일간 육묘하고, 80일간 분무경재배하였다.

1. LED 광도 60 μmol·m-2·s-1에서 경삽묘를 육묘하였을 경우 ‘수미’ 17.3 cm, ‘추백’ 16.1 cm로 두 품종 모두 초장이 가장 길었고, 마디수도 많았다. 광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작고 마디수도 적었다.

2. 품종에 따라 엽면적이나 SPAD 값, Fv/Fm 값은 육묘기의 광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경삽묘의 생체중은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건전묘 생산율도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높았다.

3. 분무경재배에서 LED 광도 60 μmol·m-2·s-1에서 육묘한 경삽묘가 품종간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지상부 경엽중이 가장 무거웠고, 정식판 아래 경삽묘장이 가장 길고 뿌리 무게도 가장 무거웠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가벼웠다.

4. 복지수에 있어서도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우 ‘수미’ 4.2개/주, ‘추백’ 7.7개/주로 가장 많았다. 또한 60 μmol·m-2·s-1 광도에서 괴경수 및 총괴경중이 가장 좋았는데 광도가 높을수록 두 품종의 총괴경수와 총괴경중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생산할 경우, 육묘에 적합한 LED 광도는 60 μmol·m-2·s-1라고 판단되었다.

References

1
Baker, N.R. and E. Rosenqvist. 2004. Application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can improve crop production strategies: an examination of future possibilities. J. Exp. Bot. 55 : 1607-1621. 10.1093/jxb/erh19615258166
2
Bryan, J.E., N.G. Melendez, and M.T. Jackson. 1981. Stem cuttings, a rapid multiplication technique for potatoes. International Potato Centre, Lima, Peru. Series I, Guide Book 1/3. pp. 1-15.
3
Buck, JrR. W. and R.V. Akeley. 1966. How to obtain the most plants from one potato tuber. Amer. Potato J. 43 : 128-131.
4
Chang, D. C., S. Y. Kim, K. Y. Shin, Y. R. Cho, and Y. B. Lee. 2000. Development of a nutrient solution for potato (Solanum tuberosum L.) seed tuber production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Kor. J. Hort. Sci. & Technol. 18(3) : 334-341.
5
Chloupek, O. 1970. On the deter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root matter and the yield of potatoes (Czechoslovak with English summary), Rostlinna vyroba (Praha). 16(2) : 175-180.
6
Choi, D. J., J. T. Yon, H. S. Lee, J. S. Kim, S. G. Choi, and H. D. Chung. 1994. Effect of microtuber size on storability, growth, and yield of potato plants. RDA. J. Agri. Sci. 36(2) : 429-433.
7
Choi, G. L., M. W. Cho, J. W. Cheong, H. C. Rhee, K. H. Yeo, N. J. Kang, and H. J. Kim. 2014. Effect o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of leafy vegetable in plant factory production. Kor. J. Hort. Sci. Technol. 32 (Suppl. II), p.105.
8
Choi, J. I., E. J. Hahn, and K. Y. Paek. 1999.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 of Hedera canariensis, Pachira aquatica, and Ficus benjamina in response to phtosynthetic photon fluxes and CO2 concentrations. J. Kor. Soc. Hort. Sci. 40(5) : 627-630.
9
Choi, Y. H., J. K. Kwon, J. H. Lee, N. J. Kang, M. W. Cho, and J. S. Kang. 2004. Effect of night and daytime temperatures on growth and yield of paprika 'Fiesta' and 'Jubilee'. J. Bio- Environ. Con. 13 : 226-232.
10
Cole, E. F. and N. S. Wright. 1967. Propagation of potato by stem cuttings. Amer. Potato J. 44 : 301-304. 10.1007/BF02864724
11
Dewir, Y. H., D. Chakrabarty, M. B. Ali, E. J. Hahn, and K. Y. Paek. 2005. Effects of hydroponic solution EC, substrates, PPF and nutrient scheduling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competence during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Spathiphyllum plantlets. Plant Growth Regulation. 46 : 241-251. 10.1007/s10725-005-0161-1
12
Fong, K. H. and A. Ulrich. 1969. Growing potato plants by the water culture technique. Amer. Potato J. 46 : 269-272. 10.1007/BF02877141
13
Goodwin, P. B., Y. C. Kim, and T. Adisarwanto. 1980. Propagation of potato by shoot-tip culture. 1. Shoot multiplication. Potato Res. 23 : 9-18. 10.1007/BF02364021
14
Hamann, U. 1974. Intensive propagation of potato. Poland Instit. Bonin, The potato.
15
Hayashi, M., N. Fujita, Y. Kitaya, and T. Kozai. 1992. Effect of sideward lighting on the growth of potato plantlets in vitro. Acta Hort. 319 : 163-166. 10.17660/ActaHortic.1992.319.21
16
Hussey, G. and N. J. Stacey. 1984.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in vitro tubers of potato. Ann. of Bot. 53 : 565-578. 10.1093/oxfordjournals.aob.a086720
17
International Potato Center. 1975. Propagation of potato stocks by stem cutting and related techniques. Ann Rep CIP 1975. Lima, Peru. pp. 73-75.
18
International Potato Center. 1976. Stem cuttings and related techniques. Ann. Rep. CIP 1976. Lima, Peru. pp. 72-74.
19
Iwama, K., K. Nakaseko, K. Gotoh, Y. Nishibe, and Y. Umemura. 1979. Varietal differences in root system and its relationship with shoot development and tuber yield. Japan Jour. Crop Sci. 48(3) : 403-408. 10.1626/jcs.48.403
20
Jeong, B. R., K. Fujiwara, and T. Kozai. 1995. Environmental control and photoautotrophic micropropagation. Horticultural Reviews. 17 : 125-172. 10.1002/9780470650585.ch4
21
Jo, M. H., I. K. Ham, M. A. Lee, N. H. Song, I. S. Woo, and T. H. Rho. 2001. Effect of the culture vessel ecosystem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otato plantlets by bioreactors. J. Kor. Soc. Hort. Sci. 42(2) : 128-130.
22
Jo, M. H., K. S. Park, S. S. Lee, I. K. Ham, J. H. Ahn, T. G. Kim, H. S. Kang, S. R. Kim, J. H. Cho, D. C. Chang, Y. E. Park, and D. J. Lee. 2017. Growth and productivity test of progeny by tuber weight using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harvested by using aeroponics system. Hortic. Sci. Technol. 35 (Suppl II) : p. 90.
23
Jo, M. H., I. K. Ham, K. S. Park, S. S. Lee, J. H. Ahn, T. G. Kim, H. S. Kang, S. R. Kim, J. H. Cho, D. C. Chang, Y. E. Park, J. H. Lee, and K. W. Lee. 2018a.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y age of stem cuttings and planting time on aeroponics system in 'Chubaek' potato (Solanum tuberosum L.). Hortic. Sci. Technol. 36 (Suppl I) : pp. 87-88.
24
Jo, M. H., I. K. Ham, K. S. Park, S. S. Lee, J. H. Ahn, T. G. Kim, H. S. Kang, S. R. Kim, and J. H. Cho. 2018b.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y plant height of stem cuttings on aeroponics system in potato (Solanum tuberosum L.). Hortic. Sci. Technol. 36 (Suppl II) : p. 205.
25
Jo, M. H., I. K. Ham, K. S. Park, S. S. Lee, J. H. Ahn, T. G. Kim, H. S. Kang, S. R. Kim, J. H. Cho, D. C. Chang, H. K. Kim, and D. J. Lee. 2018c.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y age of stem cuttings on aeroponics system in potato (Solanum tuberosum L.). Hortic. Sci. Technol. 36 (Suppl II) : p. 256.
26
Jo, M. H., I. K. Ham, K. S. Park, S. S. Lee, J. H. Ahn, T. G. Kim, H. S. Kang, S. R. Kim, and J. H. Cho. 2019.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y planting time of stem cuttings on aeroponics system in 'Chubaek' potato (Solanum tuberosum L.). Hortic. Sci. Technol. 37 (Suppl I) : pp. 183-184.
27
Jo, M. H., I. K. Ham, K. S. Park, and J. H. Cho. 2020. Effects of LED light intensity in raising seedling by stem cuttings on seed potato tubers production using aeroponics system. HortScience 55(9) Supplement-2020 ASHS Annual Conference : S96.
28
Joung, H. 1989. Mass production of potato microtuber by tissue culture technique and application. Agricultural Biotechnology Symposium. pp. 100-124.
29
Kang, H. S., S. R. Kim, K. H. Hyun, H. G. Lee, and Y. K. Kang. 2005. Effects of greening in bed of aeroponics system on yield and rotten rate of potato tubers. Kor. J. Hort. Sci. Technol. 23(4) : 377-381.
30
Kang, H. S., K. H. Hyun, H. G. Lee, and Y. K. Kang. 2006. Effects of transplant raising method on growth and tuber yield of potato grown in aeroponics system. Kor. J. Hort. Sci. Technol. 24(1) : 32-36.
31
Kang, H. S., S. R. Kim, T. G. Kim, S. Y. Hong, and Y. K. Kang. 2017. Effect of seedling quality on the seedling raising period of stem cutting and yield charateristics of 'Solara' potatoes in aeroponics cultivation. Korean J. Crop Sci. 62(1) : 60-65. 10.7740/kjcs.2016.62.1.060
32
Kang, J. G., S. Y. Kim, H. J. Kim, Y. H. Om, and J. K. Kim. 1996. Growth and Tuberization of potato (Solanum tubersum L.) cultivars in aeroponics, deep flow technique and nutrient film technique culture systems. J. Kor. Soc. Hort. Sci. 37(1) : 24-27.
33
Kim, H. J., K. S. Kim, W. B. Kim, and K. S. Choi. 1993. Studies on small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multiplication by hydroponic and its practical use. RDA. J. Agri. Sci. 35(1) : 524-529.
34
Kim, H. J., S. Y. Ryu, K. S. Choi, B. H. Kim, and J. K. Kim. 1997. Mass production of seed potato via hydroponic culture. J. Kor. Soc. Hort. Sci. 38(1) : 24-28. 10.3390/sci1010024
35
Kim, H. Y. 2005. Potato cytogenetics. GEOBOOK, Seoul, Republic of Korea. pp. 17-21.
36
Kim, Y. H., H. J. Kim, J. W. Lee, and J. M. Kim. 2008. Growth of potato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in a closed transplants production system. J. of Biosystems Eng. 33(2) : 106-114. 10.5307/JBE.2008.33.2.106
37
Kitaya, Y., O. Fukuda, and T. Kozai. 1995.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light direction on the photoautotrophic growth and morphology of potato plantlets in vitro. Scientia Horticulture. 62 : 15-24. 10.1016/0304-4238(94)00760-D
38
Lee, B. J., M. K. Won, D. H. Lee, and D. G. Shin. 2001. Changes in SPAD chlorophyll value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Tzvelev) by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Kor. J. Hort. Sci. & Technol. 19(4) : 555-559.
39
Masamoto, T. 2007. Plant Factory. Ohmsha and World Science, Chiyoda-ku, Tokyo.
40
Massantini, F. 1985. The light and dark sides of aeroponics. Soilless Culture. 1 : 85-96.
41
Maxwell, K. 1986. Soilless (hydroponic) cultu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oilless Culture. 2 : 27-34.
42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 473-497. 10.1111/j.1399-3054.1962.tb08052.x
43
Piao, X. C., E. J. Hahn, and K. Y. Paek. 2001.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 and Photosynthesi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Atlantic' and 'Russet Burbank') by PPF. Kor. J. Hort. Sci. & Technol. 19 (Suppl. II) : p. 105.
44
Piao, X. C., D. Chakrabarty, E. J. Hahn, and K. Y. Paek. 2004.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lets as affected by hydroponic solution pH and EC, light, and CO2. J. Amer. Soc. Hort. Sci. 129(1) : 100-105. 10.21273/JASHS.129.1.0100
45
Ulrich, A., K. Ohki, and K. H. Fong. 1972. A method for growing potatoes by combining water culture and pot culture techniques. Amer. Potato J. 49 : 35-39. 10.1007/BF02862939
46
Wang, P. J. and C. Y. Hu. 1982. In vitro mass tuberization and virus-free seed potato production in Taiwan. Amer. Potato J. 59 : 33-37. 10.1007/BF02854881
47
Wheeler, R. M., C. L. Mackowiak, J. C. Sager, W. M. Knott, and C. R. Hinkle. 1990. Potato growth and yield using nutrient film technique (NFT). Amer. Potato J. 67 : 177-187. 10.1007/BF0298707011537254
48
Yiem, M. S., Y. H. Park, J. K. Kim, S. Y. Kim, H. M. Cho, and B. H. Hahn. 1990. Studies on se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multiplication by microtuberization and its practical use. 1. The influences of several factors on in vitro tuberization of shoot nodes in potato, cv. 'Dejima'. Res. Rept. RDA (H) 32(3) : 46-53.
49
Zobel, R. W., P. D. Tredici, and J. G. Torrey. 1976. Method for growing plants aeroponically. Plant Physiol. 57 : 344-346. 10.1104/pp.57.3.34416659479PMC542022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